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반사회성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 소시오패스(sociopathy)

개인이 사회적 규범을 무시하고, 타인에 대한 감정이 결여된 행동 패턴을 보이는 정신적 장애이다. 이 장애는 범죄적 행동, 충동적 성향, 타인의 권리 침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인기에 나타난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자주 하며,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끼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주요 특징

반사회적 행동: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사회적 규범이나 법을 무시하는 행동이다. 이들은 범죄, 사기, 폭력적 행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감정 결여: 이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권리에 대한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타인에게 상처를 주거나 불이익을 끼치는 행동을 해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충동성과 무책임: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직장, 가족, 사회적 관계에서의 문제가 될 수 있다.

매력적 외모: 이들은 종종 매력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외모를 지니고 있어 다른 사람들을 쉽게 속이거나 조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조작하거나 이득을 취할 수 있다.

관계의 결여: 이들은 대인 관계에서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기 어려워하며, 대체로 단기적이고 피상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친구나 가족과 깊은 관계보다는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로 대하는 경향이 있다.

 

원인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유전적 요인: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연구에 따르면, 부모 중 한 명이 이 장애를 가진 경우 자녀도 비슷한 성향을 보일 확률이 높다. 이러한 유전적 요인은 개인의 성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 뇌의 특정 부위, 특히 감정 조절과 관련된 영역의 기능 이상이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뇌의 도파민 및 세로토닌 시스템의 불균형이 이러한 성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환경적 요인: 아동기 경험, 특히 부모의 양육 방식이나 가정 환경이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정 내 폭력, 방임, 또는 과도한 규제가 있는 환경에서 자란 개인은 이 장애를 겪을 확률이 높아진다.

심리적 요인: 특정한 성격 특성이나 정서적 문제는 반사회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은 이러한 장애와 연관이 깊다.

 

증상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증상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범죄적 행동: 절도, 폭력, 사기 등 법을 위반하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종종 반복적이며, 결과에 대한 후회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타인에 대한 무관심: 타인의 감정이나 권리에 대한 무관심이 두드러지며, 다른 사람을 이용하거나 조종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에 따라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가 파괴될 수 있다.

충동적인 결정: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즉각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충동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직장이나 개인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대방에 대한 공격성: 비판이나 도전적인 상황에서 공격적으로 반응하며, 타인을 위협하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성향은 대인 관계에서의 갈등을 야기한다.

조작적인 행동: 사람들을 속이거나 조종하여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를 통해 쉽게 상대방의 신뢰를 얻고, 필요할 때마다 이용한다.

 



진단기준

◇미국 정신의학계에서는 전문가의 진단을 위한 DSM-IV-TR 진단기준, ICD-10 진단기준 등을 가지고 있다. 반사회성 인격 장애의 진단에 관한 DSM 4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A.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무시하는 패턴이 15세 이후로 전반적으로 나타나며 다음의 특성 중 3개 이상을 충족시킨다.

  • 법에서 정한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지 않으며 구속당할만한 행동을 반복함
  • 개인의 이익이나 쾌락을 위한 반복적인 거짓말, 가명 사용 또는 타인을 속이는 사기 행동
  • 충동적이거나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함
  • 빈번한 육체적 싸움이나 폭력에서 드러나는 호전성과 공격성
  • 자신이나 타인의 안전을 무시하는 무모성
  • 꾸준하게 직업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지속적인 무책임성
  •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학대하거나 절도하고도 무관심하거나 합리화하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자책의 결여

B. 적어도 18세 이상에게 진단한다.

C. 15세 이상에 품행 장애를 나타낸 증거가 있어야 한다.
D. 반사회적 행동이 조현증 또는 조증 삽화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ICD-10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공하는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제10판(ICD-10)에는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이라고 진단명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 설명 중 최소 3가지 이상의 특성을 보인다.

  • 타인의 감정에 대한 냉담한 무관심을 보임(Callous unconcern for the feelings of others)
  • 상당하고 지속적인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사회규범, 규칙, 의무를 무시함(Gross and persistent attitude of irresponsibility and disregard for social norms, rules, and obligations)
  • 관계 수립에 있어 어려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이 결여됨(Incapacity to maintain enduring relationships, though having no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m)
  • 불만에 대한 인내력이 적고 폭력성과 공격성 분출에 관한 역치가 낮음(Very low tolerance to frustration and a low threshold for discharge of aggression, including violence)
  • 죄책감을 느끼거나 죄책감 특히 처벌로부터 교훈을 얻는 능력이 결여됨(Incapacity to experience guilt or to profit from experience, particularly punishment)
  • 타인을 탓하거나 사회와 배치되는 행동들에 대해 그럴듯한 합리화를 하는 것이 두드러짐(Marked readiness to blame others or to offer plausible rationalizations for the behavior that has brought the person into conflict with society)

치료 방법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다양한 접근 방법이 존재한다.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CBT)는 반사회적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치료사는 환자가 자기 행동을 반성하고, 대처 전략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약물치료: 특정한 증상, 예를 들어 불안이나 우울증에 대한 치료로 항우울제나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은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는다.

사회적 기술 훈련: 대인 관계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체계: 가족이나 친구들이 환자의 치료 과정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해와 지지를 통해 환자가 긍정적인 변화를 끌어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결론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개인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정신적 상태이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겪으며,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끼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치료와 지원 체계가 필수적이다. 주변 사람들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개인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250x250